노사관계론이란 산업혁명을 계기로 농경, 수공업 생산중심의 전통사회로부터 집단적 근로와 임금노동, 사회계층의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사회로 이행하게 됨에 따라 새로운 산업사회에 필요한 노사간의 관계 설정, 정부의 역할과 사명을 다루기 위하여 수립된 학문이다. 따라서, 노사관계란 근대 산업 사회 속에서 생겨나는 생산을 둘러싼 경영자, 노동자, 정부간의 상호관계의 복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담고 있는 노사관계론은 고용을 중심으로 인간 행동을 규제하고 조정하는 일련의 사회적 현상에 관련된 조직 관리 및 연구 상의 전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이와 같은 노사관계의 역사적, 개념적 이해와 더불어 학생들이 사회진출 이후 현실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근로기준, 노동조합 활동의 보호 등 현실의 노동세계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