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설정

일반 동영상 강의

교실수업에서의 로봇활용교육

담당교수
조혜경
강의수
1
수강
921
제작연도
NCS분류
교육학>교육일반>교육학
강의설명
? 로봇산업에 대한 소개 ? 지능로봇에 대한 정의 - 외부환경 인식, 상황 판단, 자율적 동작하는 시스템 ? 로봇의 분류 - 개인서비스용, 전문서비스용, 제조업용 ※ 교육용로봇은 개인서비스용에 포함됨 ? 우리나라 로봇 산업의 현주소 - 현재는 산업용 로봇이 주를 이룸 - 2020년에는 자동차 산업에 비할 만하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로봇의 응용분야 - 제조, 국방, 의료, 우주개발, 개인서비스, 문화, 취미용 등 ? 교육과 로봇 : 해외 로봇활용교육 사례와 시사점 ?로봇과 교육 - 교육에서 활용되는 로봇은 크게 교구형태와 교육보조형태로 분류 - 체험을 통한 학습매체로서 창의력, 사고력 등 다양한 학습효과 기대 ?교구용 로봇 활용사례 - 해외 : Roamer, BeeBot, Pico Cricket, Lego RCX, NXT 등이 활용 - 초?중?고 전학년에 사용되며 타 분야(예술 등)와 융합하여 활용 - 로봇을 활용한 다양한 커리큘럼이 발달 단계에 적합하게 체계화 ?시사점 - 중학교에서 STEM 교육을 하기 위해 로봇활용 활성화(미국) - 우리나라는 로봇을 활용한 창의력 교육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 ? 국내 로봇활용교육 방향 설정 및 적용 사례 ? 로봇활용교육 변화의 필요성 - 교육도구로서 활용되는 로봇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 필요 - 교사 참여를 제고하고, 교과와의 연계가 필요 ? 해외 커리큘럼 분석을 통한 로봇활용 방향 도출 - ‘사고’의 도구로서 문제 해결력 제고 - ‘탐구‘의 도구로서 수학?과학에 적용 - ‘표현’의 도구로서 미적 표현 제고 - ‘작업‘의 도구로서 탐구 수업에 적용 - ‘소통’의 도구 협동심, 의사소통 활용에 적용 ? 국내 로봇활용수업 사례 - 로봇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이용하여 로봇 연극, 손가락 관절 로봇, 로봇 패션쇼 등 다양하게 시범 적용 ? R&D와 연계한 새로운 로봇활용교육 콘텐츠 ? IT연계형 로봇활용 콘텐츠 - 로봇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뿐만아니라 어떤 소프트웨어를 로봇에 입력할 것이며, 해당 소프트웨어를 다른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서도 학습 가능한지 연구중 - 과학, 수학, 언어, 체육, 미술 등 다양한 과목에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