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설정

일반 동영상 강의

일본 디지털교과서 활용 미래학교 현황과 시사점

담당교수
조규복
강의수
1
수강
1239
제작연도
NCS분류
교육학>교육일반>교육학
강의설명
? 배경 - 한일 비교연구의 의미(귤과 레몬의 차이) - 일본의 주요 미래학교 관련 연구학교 실시 현황 ? 지역고용창조 ICT 연결 프로젝트 - 총무성을 중심으로 자치단체, 기업 그리고 학교의 4자가 연계함 - 사업 목적 : 지역의 ICT 인재 육성 활용에 의한 고용 창출 지역 활성화 - 대상 분야 : 공공 분야 (교육, 복지, 의료, 개호, 방재 등) - 총예산 : 59.9 억엔 (약 900억원) - 총예산 중 미래학교 사업에 23억엔(약 345억원) - TPC와 IWB, LMS를 종합적으로 구축하는 방향으로 교육정보화 사업 24건(46개 초중학교, 1학교당 5천만엔), 공공서비스 분야 사업 및 지역산업분야사업 73건 채택 ? 마법의 필통 프로젝트 - 사업 주체 : 동경대, 소프트뱅크 등 - 사업 목적 : 장애학생을 위한 iPad활용 연구 - 대화가 서툰 아이를 위한 문자교환 기능, 읽기가 서툰 아이를 위한 낭독, 녹음 기능, 글쓰기가 서툰 아이를 위한 메모기능, 길을 잃어버리는 아이를 위한 위치파악 기능 등 연구 - 2009년 스마트폰 활용 프로젝트에서 2011년 iPad 활용 프로젝트로 확대 ? 교육 스퀘어xICT 실험연구 - 실시 주체 : NTT - 전국 10개교 참가(초등학교 산수/이과/사회, 중학교 영어 과목 연구) - 안드로이드 기반 ‘갤럭시탭’ 사용, 클라우드 & LMS - 자금 : 약 15억엔(약 225억원) ? 퓨쳐스쿨 - 사업 주체 : 총무성 - 대상학교 : 초등학교 10개교 - 일본의 동쪽지역은 NTT가 서쪽지역은 후지츠가 분할하여 추진 (동일본 5개교, 서일본 5개교) - 기업을 중심으로 학교와 연구자 및 교육청이 협력하여 사업 추진 - 시판되어 있는 각종 교수학습지원 소프트웨어 이용 - 붙박이 형이 아닌 이동식 전자칠판 사용 - 각 연구학교에 ICT 지원인력 상근 - 회선속도, 클라우드 환경구축, 실제 교수학습 사용성 등 세밀한 점검사항 기록으로 남김 - 2011년부터는 본 사업에 문부성이 ‘배움의 이노베이션 사업’으로 연계함 ? 일본의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검토 - 제작주체 : 출판사 - 복사, 편집, 전송 가능 - 메모도구, 그림도구, 동영상파일, 사진파일 및 각종 학습자료 탑재(우리나라의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와 유사함) - CD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