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면설정

일반 동영상 강의

SNS에서의 상호작용 분석과 교육적 활용

담당교수
김명랑
강의수
1
수강
1050
제작연도
NCS분류
공학>컴퓨터ㆍ통신>정보통신공학
강의설명
? Social Network (Service) in EDUCATION - Social Network의 교육적 활용 배경 ? 새로운 형태의 Social Capital의 등장 ?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의 이동 ? 가치판단이나 태도 등의 측면에서의 변화 ? 유대감 및 결속력 부여/유지에 Social Network가 중요한 역할 수행 - SNS가 제공하는 교육환경 :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구축, 일상과 연계된 학습 공간 제공, 협동과 의사소통의 기회 제공, 다양한 학습경험 제공 - SNS의 교육적 효과 : 정보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촉진, 학생들의 참여로 활기찬 수업 가능, 교수자와 학습자 간 유대 관계 강화, 학습자 간의 친밀감/소속감 부여 ? Social Network (Service) 관련 연구 - SNS(Social Network Service) :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정보공유/인맥관리/자기표현 등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서비스 - Social Network 관련 개념 ? Social Interdependence : 공동의 목표를 함께 성취할 때 나타나는 개개인의 행동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 ? Social Presence : 상호작용에 있어 타자의 존재감이 드러나고 그 결과 대인관계에서 존재감이 지속되는 정도 ? Social Emotional Learning : 사회화 및 감정표현의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학습 ? Social Network 분석 방법(Ucinet, NetDraw) - Social Network 분석의 특징 및 이점 ? 특정한 유형의 정보 또는 의견 교환이 어떻게 개별 행위자들을 연결시키는가에 대한 이해 가능 → 행위자 간 관계를 명료하고 매력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 자기보고식설문, 관찰, 일기, 전자추적 등의 데이터를 통해 주고받는 메시지 내용, 교환회수, 접속회수 등을 상호작용 분석 자료로 사용하기 쉬움 ? 상호작용의 과정적인 부분에 대한 분석 ? 다양한 학습자 변인을 적용하여 분석 가능 - Social Network 해석 방법 ? 중앙성 : 다른 행위자들에게 눈에 잘 띄는 가시성이 높은 경우. 집단에서 주목받거나 매력적인 경우에 해당 ? 중앙성은 수행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심리사회적·사회적 정보 , 도움 제공,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거시적 정보 제공 ? ‘중앙’이라는 개념은 ‘가시성’이 높은 경우, 관계가 많은 경우, 중재자가 되는 경우로 해석할 수 있음 - 중앙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