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지털 교과서 논의의 주요 기술적 요소
- 컨텐츠 및 구현방식 : 컨텐츠를 웹과 연동하는 것은 현재의 주요 이슈이며 향후에는
유관 컨텐츠와의 연결도 고려
- 저작도구 : 웹베이스로 유통구조를 잡게되면 관계있는 다른 컨텐츠와도 맞물려 제공할
수 있게 됨
- device : device들은 개별 운영체제(OS)에 따라 다양하게 서비스 방향이 나누어짐
- platform : 클라우드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
? 디지털 교과서의 논의의 쟁점
-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은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device의 호환성이 문제이다.
DRM과 같이 특정 device는 다른 device에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나타남
- HTML5 : 특정한 웹사이트에서 콘텐츠를 볼 때 구동이 되는 경우와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HTML5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기술진화 고려의 중요성
-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방향이 도출될 수 있음
- 해당 시점의 기술만을 바라보고 구현을 하게 되면 목적을 이루지 못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기술 안목이 필요함
? 기술진화의 미래
- device : 새로운 device의 출현이 가속화
· 성능 및 사양의 고급화
· hybrid device의 출현
- 다양한 OS
· 모바일 app와 PC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OS가 많이 활용될 것
· device 구현 시 다양한 OS 환경도 고려할 것
- Web
·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웹에서 구현하는 것이 큰 흐름이 될 것
- network 고도화
· faster data
· Richer content
·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콘텐츠 유통 방식도 달라질 수 있음
- smarter technologies
· 향후에는 컴퓨터와 interactive하는 방식이 늘어날 것
· device에 명령하는 수준을 넘어 device와 인공지능적인 교감이 가능할 것이며 이 부
분에 대해서 디지털 교과서에 반영되어야 함
? ICT 생태계의 변화
- Smart tech 시대의 디지털 교과서 논의
· smart device : 각 나라에서 device를 고려할 때 학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
경은 범용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실현될 수 있음
· being social : 교육과 social을 결합한 다양한 연구가 있고 향후에는 social도 교육에도
접목이 될 것
- Certain Changes in DT 생태계
· Authoring : 저작도구의 간편화 및 디지털 저작물의 확산
· Content : Closed vs Open (E